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생활정보

햄버거병이란? 증상과 원인 그리고 예방법은?

by ┃ 2020. 7. 6.

햄버거병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안산의 한 유치원에서 집단 식중독 사고가 일어나면서 일부의 아이들에게서 용혈성요독증후군(HUS), 일명 햄버거병의 증상을 보였다고 합니다. 


식중독에 걸린 100여명의 아이중 14명이 햄버거병으로 의심되며 그 중 일부의 아이는 투석치료까지 받는 심각한 상태라고 합니다. 오늘은 여름철에 발생이 잦아 문제가 될 수 있는 햄버거병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햄버거병이란?

- 햄버거병은 1982년 미국에서 햄버거에 덜익은 패티가 들어가 그걸 먹고 집단 감염이 되면서 햄버거병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햄버거병은 용혈성요독증후군(HUS)으로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의 합병증이라고 합니다. 

 


햄버거병은 1993년, 미국의 유명브랜드의 햄버거를 먹고 732명의 사람들이 집단 식중독에 걸렸는데 이 중 30명이 용혈성요독증후군(HUS)으로 판정 받았고 이 중 3명이 사망하게 되면서 전세계적으로 햄버거병이 알려지게 됩니다.


2. 햄버거병 원인

-햄버거병이 덜익은 햄버거패티로 인해 식중독 집단감염으로 알려지긴 했지만 햄버거병은 다양한 경로로 
감염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햄버거병의 감염 경로

① 제대로 익히지 않은 오염된 소고기

② 오염된 퇴비로 키운 채소나 제대로 씻지 않은 과일 섭취

③ 살균되지 않은 유제품

④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과의 접촉

⑤ 물놀이

 


3. 햄버거병 증상

-햄버거 병은 장출혈성대장균의 합병증으로 보통 장출형성대장균은 1~2주정도 지난후 후유증없이 호전되지만 소아 또는 노인 과 같이 노약자의 경우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이후 후유증으로 햄버거병(HUS, 용혈성요독증후군)으로 진행되면서 신장기능이 훼손되어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① 일반적인 식중독 증상(배탈, 설사)


② 몸이 붓거나 혈압이 상승


③ 신장기능 저하(혈관에 있는 혈소판이 망가지면서 혈전이 발생하고 그 혈전이 미세혈관을 막아 신장기능을 저하시킴)


④ 용혈성빈혈


⑤ 혈소판 감소증


4. 햄버거병의 치료와 예방법

- 햄버거병 치료

햄버거병은 안타깝게도 현재까지는 적절한 치료법이 없어 예방만이 최선의 치료라고 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지만 5세이하의 소아나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사망률이 5~10%, 신장이 손상되게 되면 투석에 의존해야 함)

 


- 햄버거병 예방

① 식사 전후와 화장실 이용시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습니다.


② 사람과의 접촉 또는 동물과의 접촉시에도 위생관리에 신경씁니다.


③ 채소나 과일은 깨끗하게 씻어서 먹습니다.


④ 물은 끓여마시고 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습니다.


⑤ 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릴때에는 반드시 변기뚜껑을 닫고 물 내리는 습관을 들입니다.


⑥ 멸균 또는 살균된 유제품을 먹습니다.

반응형

댓글